1.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 - 윌리엄 오닐
CAN SLIM 투자법으로 유명한 세계적인 투자가 윌리엄 오닐이 쓴 책입니다. CAN SLIM의 각 알파벳은 아래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C = 현재의 주당 분기 순이익
A = 연간 순이익 증가율
N = 신제품, 신경영, 신고가
S = 수요와 공급
L = 주도주인가 소외주인가
I = 기관 투자가의 뒷받침
M = 시장의 방향
어려워 보이지만, 핵심은 간단합니다. "신고가(혹은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들 중 순이익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종목을 매수해라! 그리고 그 주식이 내려가면 손절매를 하고, 올라가면 추가 매수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해라."
여러분이 어떤 주식을 굉장히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주식이 정말로 좋다면 남들도 그렇게 생각할 것이기 때문에 주가가 올라야 정상입니다. 만약 주가가 오르지 않는다면, 여러분 혼자만 좋다고 착각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윌리엄 오닐은 애초에 주가가 신고가에 다다른 종목을 투자 대상으로 삼습니다. 주가가 올랐다는 건, 누군가 해당 주식을 굉장히 좋게 보고 있다는 신호니까요. 그래서 이러한 종목들을 투자 대상으로 삼고 분석합니다.
분석할 때는 순이익을 중요하게 봅니다. 매 분기 순이익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기업, 매년 순이익이 증가하고 있는 기업이라면 강력한 매수 신호가 됩니다.
매수한 후에는 철저히 손절매 원칙을 지킵니다. 주가가 사전에 정해 놓은 기준치보다 내려가면 이유를 불문하고 손절매합니다. 이렇게 해야 큰 손실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큰 손실만 피하면 언제든 수익을 낼 기회는 많다고 보는 것이죠. 만약 주식을 샀는데 가격이 내려가지 않고, 올라간다면 어떻게 할까요? 내 생각이 맞다는 의미이므로 추가로 주식을 더 삽니다. 보유 물량을 점차 늘려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잃을 때는 조금 잃고, 수익을 낼 때는 많이 내는 전략입니다.
여러분이 윌리엄 오닐의 투자를 따라하고 싶다면,
① 신고가 혹은 역사적 신고가를 기록한 종목을 투자대상으로 놓고
② 이 기업들의 순이익(영업이익)이 얼마나 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③ 적절한 타이밍에 매수를 한 후, 가격이 내려가면 손절매를 해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격이 올라가면 추가로 더 매수해 수익을 극대화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윌리엄 오닐의 CAN SLIM은 초보투자자들이 따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초보분들은 꼭 읽어보세요. 강력히 추천합니다.
2. [주식 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 - 조엘 그린블라트
20년간 연평균 40%의 수익률을 올린 세계적인 투자자 조엘 그린블라트가 쓴 책으로 시장을 이기는 마법 공식이 나와 있습니다. 마법 공식은 가치투자를 기반으로 하는데다 워낙 단순 명료해 장기 투자자가 활용하기 좋습니다.
마법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코스피/코스닥 종목들을 PER이 낮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깁니다. PER이 가장 낮은 종목이 1등, 10번째로 낮은 종목은 10등, 이런 식입니다. 그 다음 ROE(ROA)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매깁니다. ROE가 가장 높은 종목이 1등, 10번째로 높은 종목이 10등이 되겠네요.
이제 PER 순위와 ROE 순위를 더해줍니다. 예를 들어, PER이 13등, ROE가 12등인 종목은 25등이 됩니다. 이렇게 합산한 순위 중 상위에 있는 종목 20~30개를 추립니다. 그리고 이 회사들에 분산 투자를 합니다. (한 번에 20~30개 회사에 투자할 여력이 안 된다면, 2~3개월 주기로 7~8개씩 나눠서 매수해도 됩니다.)
매년 이 방식으로 새롭게 순위를 매겨서, 순위를 벗어나는 종목은 매도하고, 새롭게 순위에 진입하는 종목은 편입시킵니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시장을 능가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책에 나와 있는 미국에서 마법 공식을 적용했을 때의 실제 수익률입니다.
물론 마법 공식에도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데이터가 정밀해야 합니다. HTS에서 '종목검색' 기능을 통해 PER이나 ROE가 낮은(높은) 순서대로 데이터를 뽑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얻은 기업 재무제표에는 왜곡된 수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부동산을 매각해 순이익이 일시적으로 급등해 PER이 낮아진 건데도, 높은 순위에 오를 수 있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것들을 수작업으로 걸려줘야 합니다.
둘째, 장기 투자해야 합니다. 마법 공식을 쓴다고 해서 바로 수익률이 잘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몇 년간은 오히려 시장 평균 수익률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장기간 이렇게 했을 때 효과가 있다는 것이지, 단기로 놓고 보면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분이 직접 우리나라 주식의 지난 20년 간의 데이터를 구해서 마법 공식을 적용해보는 겁니다. 20년 간 마법 공식을 적용했을 때, 수익률이 얼마큼 나왔는지 데이터로 직접 확인하면 흔들리지 않고 투자할 수 있겠죠? 추가로, 종목을 찾고 계산하는 과정에서 주식과 관련된 많은 걸 느끼고 배울 수 있을 거예요.
마법 공식과 관련해서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은 분들은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을 꼭 읽어 보세요.
3. [메트릭 스튜디오] - 문병로
바야흐로 빅데이터의 시대입니다. 빅데이터 시대에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데이터'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그 안에 숨어있는 알고리즘(로직)을 찾으면 엄청난 성공을 거둘 수 있으니까요. 이는 주식 투자도 예외가 아닙니다. 주식 시장의 수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승하는 알고리즘을 찾아내 컴퓨터가 자동으로 매매하도록 하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이미 전세계의 앞선 투자자들이 이런 방법으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문병로 교수님이 있습니다. 서울대하굑 컴퓨터 공학부 교수이자, (주) 옵투스투자자문 대표로 있는 문교수님은 국내 최초의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을 개발했고, 2009년 2월부터 5년간 222%의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 대비 157% 더 높은 수익률입니다.
물론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르는 일반 투자자들이 문병로 교수님처럼 당장 시스템 트레이딩을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전세계의 흐름이 점점 알고리즘 투자로 가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이 분야에 관심은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스템 트레이딩의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를 통해 검증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순이익이 3년 연속 증가한 종목 중에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상태에 있으면서 거래량이 전일대비 100% 이상 급등하며 당일 10% 이상 큰 폭으로 상승한 종목은 1개월 뒤에 주가가 상승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세웠다고 해봅시다. 그럼, 여러분은 지난 10년 동안(더 오래 전 데이터가 있다면 그 이상도 가능하겠죠?)의 데이터를 가지고 이 가정이 맞았는지를 테스트를 해볼 수 있습니다. 월 기준으로 총 120개월(10년 이므로)을 테스트 했는데, 100개월 정도 상승이 일어났고, 심지어 평균 상승률이 높다면? 이 방법대로 투자하면 큰돈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 장기간의 과거 데이터로 이 전략이 통한다는 것을 확인했기에 흔들리지 않고 투자할 수 있죠.
이런 식으로 계속 가정을 수립하고 -> 그 가정이 시장에서 통했는지 지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고 -> 검증을 통해 가정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시장에서 먹히는 알고리즘을 찾아낸 다음, 컴퓨터가 자동으로 매매하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포인트입니다. 초보자 입장에서는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어느 정도 투자에 눈을 뜨게 되면 한 번쯤 시스템 트레이딩을 배워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실 겁니다.
시스템 트레이딩과 관련해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한 분들은 문병로 교수님이 쓰신 [메트릭 스튜디오]를 읽어 보세요. 세상에는 돈을 벌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을 겁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삼국지보다 재미있는 메모리 반도체 치킨 게임!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보는 법 - 1. 손익계산서 이해하기 (0) | 2023.02.06 |
---|---|
반도체 8대 공정 - 1. 웨이퍼 제조 공정 (0) | 2023.01.21 |
서킷브레이커와 변동성 완화장치(VI) 쉽게 이해하기 (0) | 2022.12.15 |
삼국지보다 재미있는 메모리 반도체 치킨 게임! (0) | 2022.11.04 |
장전 / 장후 시간외 거래, 시간외 단일가 총정리! (0) | 2022.10.23 |